전체 글 14

2023년 세계 최고의 부자는? (일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세계에서 가장 부자는? 지난 화요일 발표된 포브스의 37번째 연간 억만장자 목록에 따르면, 버나드 아르노(74)가 추정 재산이 2110억 달러로 2023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버나드 아르노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도 많겠지만 바로 루이비통, 디올 등을 포함하는 명품 대기업 LVMH의 회장입니다. 참고로 지난해 3위에서 1위로 올라섰고 프랑스 인으로는 처음이라고 하네요. 역시나 일론 머스크(Elon Musk) 다음으로 Elon Musk가 1,800억 달러로 2위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Tesla, 로켓 제조업체 SpaceX에 이르기까지 6개의 회사를 공동 설립했으며 Twitter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가장 1위보다 부러운 점은 무려 51세) 3위는 전자상거래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

오늘의 이슈 2023.04.06

부산엑스포 유치노력. (Ft.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3대 이벤트. 대전엑스포는 인정안됨?)

`22. 10월 BTS 부산 무료 공연 이 공연은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가 부산에서 개최되길 응원하는 의미에서 열렸습니다. 이번에 부산에서 엑스포를 개최할 것인지 평가하기 위해 8명의 전문가(실사단)가 우리나라를 방문했습니다. (아래 기사 참조)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86497.html 엑스포란? 엑스포는 산업, 과학 기술 발전을 소개하고 개최국의 능력을 세계에 자랑하는 행사로, ‘경제, 문화 올림픽’ 이라고도 불립니다.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입니다. 1878년 에디슨의 전구 발명품을 시작으로 자동차, 비행기, TV, 플라스틱 등 인류의 역사적인 발명품이 전부 엑스포에서 처음 소개됐다고 합니다. 프랑스..

오늘의 이슈 2023.04.06

주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과 외국의 주 4일 근무 실험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지난 3월 6일 정부는 일주일에 최대 69시간까지 근무가능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죠. 정부가 새롭게 도입하고자 하는 방안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가 뭐지?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는 "기본 근로시간 40시간" + "최대 연장근로시간 12시간 허용" 하는 제도예요. 즉 하루에 주 5일 x 8시간 근무(점심시간 제외)를 기본으로 하되 추가로 12시간 야근은 허용한다는 거죠. 사실 12시간 야근을 5일로 나누면 매일 2시간씩 더 늦게 퇴근하는 거니 이것도 적지 않은 시간인 거죠. (개편) 연장 근로 시간 조정 (관리단위 : 주간 -> 월간/분기/반기/연간) 정부에서 제출한 이번 개편방안의 핵심은 기본 근로시간이 아닌 "연장근..

다들 학원비로 얼마나 쓰고 있을까? (ft. 2007 ~ 2022 사교육비 통계)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3월 7일 교육부와 통계청이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 가정에서 지출한 사교육비 총액이 26조로 2021년 23.4조에 비해 10.8%나 증가하였습니다. 사교육비(학원비) 증가원인 증가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소비자 물가 상승) 2022년 물가상승률이 5.1%로 1998년 이후로 최고라고 하는데요. 그에 따라 학원비도 많이 올랐어요. 우리 아이가 학원을 늘린게 아닌데 가만히 있어도 지출만 늘어난거에요. 역시 월급빼고는 다 오르는 ㅠㅠ (참고로 제가 있는 호주에서도 적어도 1년에 한번 시간당 5불 정도는 올리는거 같아요. 예를들면 30 -> 35불/시간이니 상승률로 보면 엄청난거죠. 선생님이 갑자기 무슨 이..

방탄소년단(BTS)과 우영우가 진짜 애국자 (한류 수출액 역대 최고치 경신)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선수들에게는 왜 포상금도 주고 병역도 면제해 줄까요? 바로 올림픽이라는 큰 대회를 통해 한국을 알려 국위선양에 앞장섰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한류를 통해 전세계에 대한민국을 알리고 있는 BTS와 우영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행복거북이는 외국에서 살고 있어서 실제로 한류의 인기를 체험할 때가 많은데요. 2021년에는 오징어게임가 대히트를 치는걸 직접 느꼈고, 2022년에는 Extraordinary Attorney Woo 바로 우영우가 대세였던 거 같아요. 이 밖에도 BTS 노래는 상점 여기저기서 들을 수 있구요. 그런데 이렇게 한류가 전세계로 뻗어 나가면 국가에는 어떤 도움이 될까요? 국가이미지 향상, 관광수익 증가 우선 국가 이미지 개선을 통한 관광..

유튜브 vs 넷플릭스 최후의 승자는? (ft. 스트리밍 산업의 미래)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유튜브와 넷플릭스 각각의 특징과 최후의 승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경쟁관계 예전에 나이키의 경쟁자는 닌텐도라는 이야기 들어보셨죠? 결국 한정된 사람의 여가시간을 누가 가져가느냐가 사업의 성공을 가르는 열쇠가 되는데요.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경쟁관계는 너무나 명확합니다. 한국인이 가장 자주 보는 2가지 플랫폼이고 한가지가 인기가 높아지면 다른 한가지는 점유율을 뺏길수 밖에 없으니깐요. 저도 집에 오래된 TV에 애플티비를 연결해서 보는데요. 사용하는 어플은 딱 2가지 유튜브와 넷플릭스입니다 ㅋㅋㅋ 좀더 전문적으로 보면 두 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이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게 가장 중요한 관심경제(Attention Economy)에서 ..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ft.공대생도 이해할 수 있다.)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이라는 책의 독서서평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공대생이지만 재무제표는 알아야지 여러분 재무제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왠지 주식투자에 성공하려면 재무제표를 제대로 읽어서 좋은 기업을 골라내야 할 거 같고 재무제표는 경영의 언어라는데 회사에서도 승진해서 경영자로 가려면 재무제표 정도는 알아야 할꺼 같고... 하지만 공대생인 행복거북이도 사실 그동안 일상생활에서 재무제표를 볼일이 특별히 없었습니다. 주식투자를 안하니 어렵게만 보이는 재무제표를 분석할 생각은 안 해봤고 회사에서도 주로 공학관련된 일을 하다 보니 재무제표와 담쌓고 살았죠. 그러던 중 최근 저의 업무가 공학에서 다소 벗어나서 폭넓게 회계흐름, 기업가치 등에 대해 봐..

기업분석 2023.03.07

우리나라에 치킨집, 카페, 편의점 중 어떤게 가장 많을까?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영업인 치킨집, 카페, 편의점 통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합니다. 자영업자의 증가 IMF 이후 많은 40 ~ 50대들이 명퇴 후 치킨집을 창업했다는 이야기 다들 들어보셨죠? 실제로 일부 전문직을 제외한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퇴사 후 특별한 기술이 없다보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민하게 됩니다. (행복거북이 또한 항상 은퇴 후 삶에 대해 고민을 하는데요. 은퇴 후 나만의 무기가 꼭 필요한 거 같습니다. 혹시 좋은 정보 있다면 공유 좀.... ^^) 치킨집, 카페, 편의점 중에서 뭐가 제일 많을까? 그래서 제가 찾아봤습니다. 통계청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를 뽑아봤는데요. 자료의 일관성 문제로 2013년부터 2021년..

기후변화와 전세계 인터넷망 위기 (ft. 해저케이블)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기후변화와 인터넷망 위기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해저케이블이 뭐지? 최근 인터넷 없이 하루라도 살아본 적 있으신가요? 해외여행 갈 때 필수로 챙기는 게 해외유심 또는 로밍인 거만 봐도 우리 모두 인터넷 없이는 불안해서 못 사는 중....독... 인거 같은데요 오늘은 기후변화와 인터넷 중단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해외 서버에 있는 정보를 순식간에 접속해서 보기 위해서는 국가 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요. 이 국가간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 전세게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해저케이블입니다. 밑에 그림에서 보듯이 이렇게 촘촘하게 바다를 거쳐 전 세계가 해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요. 사실 바다건너 ..

폐기물(쓰레기) 산업 밸류체인 분석 (ft. 삼정 KPMG Insight)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폐기물 산업의 밸류체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쌓이기만 하는 쓰레기 과연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 저는 예전부터 폐기물, 쉽게 말하면 쓰레기 처리 산업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요. 저 많은 쓰레기 대체 어떻게 다 처리하지? 특히 코로나 이후에 각종 도시락의 일회용품, 의료용품 폐기물 등은 대체 어떻게 처리하지? 하는 궁금증 반 걱정 반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인터넷에서 삼정 KPMG에서 발간한 폐기물 산업 관련 자료를 보고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고자 오늘의 포스팅을 올립니다. 내용이 워낙 잘 되어있어서 제가 올려드리는 요약 말고 직접 한번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국내 폐기물 시장의 과거, 현재, 미래 보고서는 국내 폐기물 시장의 변화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