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기후변화와 인터넷망 위기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해저케이블이 뭐지?
최근 인터넷 없이 하루라도 살아본 적 있으신가요?
해외여행 갈 때 필수로 챙기는 게 해외유심 또는 로밍인 거만 봐도 우리 모두 인터넷 없이는 불안해서 못 사는 중....독... 인거 같은데요

오늘은 기후변화와 인터넷 중단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해외 서버에 있는 정보를 순식간에 접속해서 보기 위해서는 국가 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요.
이 국가간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 전세게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해저케이블입니다.
밑에 그림에서 보듯이 이렇게 촘촘하게 바다를 거쳐 전 세계가 해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요.
사실 바다건너 국가 간 데이터 전송 방법에는 해저케이블과 위성통신에 의한 방법이 있는데요.
1990년대까지만 해도 비율이 비슷하다가 현재는 가격경쟁력 등으로 인해 해저케이블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각각의 장단점은 아래를 참조해 주세요.)
그렇다면 기후변화로 왜 인터넷 연결이 안될수 있지?
이렇게 중요한 해저케이블이 손상되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자연재해 또는 인간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습니다.
- (자연재해) 화산폭발, 해일, 지진 등에 의한 해저케이블 손상으로 가까이는 2022년 1월 해저화산폭발로 통가의 인터넷이 약 한 달간 마비된 사건부터 멀게는 2011년 동일본 지진 때 한국, 일본의 유튜브 등 해외사이트 접속 불량 사례 등이 있습니다.
- (인간활동) 2008년 1월 선박의 닻에 의해 손상된것으로 추정되는 사고로 이집트 인터넷망 70% 마비, 2023년 2월 대만 마주섬의 인터넷망이 중국 선박에 의해 훼손
이중 자연재해에 의한 영향이 기후변화에 의해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인데요.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와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잦아지면서 평균 20~30년 정도 수명이었던 해저케이블이 10년정도로 줄어들고 있으며, 폭풍해일로 인한 연안의 매설케이블 노출사고, 해빙감소에 의한 유조선 경로 변경으로 케이블 훼손 빈도 증가 등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https://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92
기후위기, 전 세계 인터넷망 위협 가능성
[뉴스펭귄 남예진 기자] 기후위기가 해저 케이블 손상을 부추겨 인터넷 접속을 위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영국 국립해양연구센터와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교 연구진은 위 같
www.newspenguin.com
문제는 얼마전 외교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략적 자산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국가 안보를 위해 해저케이블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인간활동에 의한 훼손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잠수함을 통한 해저케이블 도청, 해킹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인간에 의한 훼손 위협에는 아래와 같은 배경이 있습니다.
- 코로나 이후 전 세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해저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사용량 증가
- 자연재해 또는 정치 군사적 이유(인간활동)로 해저케이블 손상 위협 증가
- 국제 해저케이블 시장에 중국 진출 확대로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안보 위협 증가
해저케이블 관련 업체는 어떤 게 있을까?
이렇게 중요한 해저케이블 시장, 관련업체가 뭐가 있을까 살펴보니
- 국제 시장에서는 해저케이블 제조/시공 부분을 (1) 미국의 SubCom (2) 일본의 NEC (3) 프랑스의 ASN 3개 사가 전 세계 시장의 90%를 차지하며 사실상 독과점의 형태를 띄고 있었습니다만 최근에는 중국 기업(YOFC, Hengtong, FiberHome, ZTT, Huawei Marine)들이 점차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 반면 국내에서는 대형업체가 적어 LS 전선, 대한전선, KT Submaine 등이 외국기업과 컨소시엄 형태로 참가하여 일본, 중국 등에 해저케이블을 연결하는 사업을 하였다고 합니다.
참고로 상기와 내용은 얼마 전(2023. 2.22) 외교부 유아룸 전문관이 작성한 경제안보 Review를 주로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 꼭 전체 원문을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 행복거북이의 생각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경제안보에 있어서 해저케이블의 관리, 보안은 필수적 그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단기, 장기로 나눠서 생각해 보면
- (단기) 미국 동맹국들이 통신장비에서 화웨이를 퇴출시키고 심지어는 SNS인 틱톡(Tiktok)도 규제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Big 3 (미국 SubCom, 일본 NEC, 프랑스 ASN)의 시장 지위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장기)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기후변화에 의한 위협, 신냉전시대에 안보 위협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해저케이블이 위성통신으로 대체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경우 Space X를 필두로 일론 머스크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번외) 해저케이블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아래 기사는 해저케이블을 (1) 인터넷 등 데이터 통신용 (2) 전력 송배전용으로 분류하고 있는데요.
이 중 전력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이 특히 상어, 가오리 등과 같은 생물에 큰 영향을 준다는 내용과
반대로 해저케이블이 있을 경우 해당지역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므로 오히려 생태계가 보호될 수도 있다는 내용이 함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4509568
해저 케이블이 해양 생물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 - BBC News 코리아
많은 해저 생물이 먹이 사냥에 자기장을 사용하거나, 내재된 감각 기관을 통해 이동한다.
www.bbc.com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에 또 만나요.
'뜨는 산업 & 지는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vs 넷플릭스 최후의 승자는? (ft. 스트리밍 산업의 미래) (2) | 2023.03.08 |
---|---|
우리나라에 치킨집, 카페, 편의점 중 어떤게 가장 많을까? (0) | 2023.03.06 |
폐기물(쓰레기) 산업 밸류체인 분석 (ft. 삼정 KPMG Insight) (2) | 2023.03.05 |
23년말 가스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인가? (중국 경제회복과 유럽의 걱정) (0) | 2023.03.04 |
호주에는 왜 태양열 발전이 많을까?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