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산업 & 지는 산업

유튜브 vs 넷플릭스 최후의 승자는? (ft. 스트리밍 산업의 미래)

행복거북이 2023. 3. 8. 02:03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유튜브와 넷플릭스 각각의 특징과 최후의 승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경쟁관계  

예전에 나이키의 경쟁자는 닌텐도라는 이야기 들어보셨죠?

결국 한정된 사람의 여가시간을 누가 가져가느냐가 사업의 성공을 가르는 열쇠가 되는데요.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경쟁관계는 너무나 명확합니다.

한국인이 가장 자주 보는 2가지 플랫폼이고 한가지가 인기가 높아지면 다른 한가지는 점유율을 뺏길수 밖에 없으니깐요. 

저도 집에 오래된 TV에 애플티비를 연결해서 보는데요. 

사용하는 어플은 딱 2가지 유튜브와 넷플릭스입니다 ㅋㅋㅋ

 

좀더 전문적으로 보면 두 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이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게 가장 중요한 관심경제(Attention Economy)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2가지 회사에요. 


전문가 vs 누구나(크리에이터)

두 플랫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문가가 만드는 컨텐츠" vs "누구나(크리에이터) 만들어서 동참하는 컨텐츠"에 있습니다.

이 점에서 유튜브 그리고 구글의 혜안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끼는게 (사실 구글이 유튜브를 높은 가격에 인수할 당시만 해도 거품 논란이 많았죠) 유튜브가 바로 크리에이터라는 직업을 만들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요. 

저같은 사람도 크리에이터가 되고자 하고, 요즘 초등학생 꿈이 유튜버라는 것만 들어도... 

이점에서 각사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아요. 

  • (넷플릭스) 컨텐츠는 훌륭하지만 판권을 사와야 해서 판권 구입료가 든다. 
  • (유튜브) 컨텐츠 구입료는 안들지만 컨텐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구독료 vs 광고비

양사의 수익구조도 역시나 엄청난 차이가 있는데요. 

생각하면 할수록 유튜브의 사업모델은 정말 기발한거 같아요. 

  • (넷플릭스) 사람들이 내는 월 구독료
  • (유튜브) 영상 중간중간 광고 수입료

여기서부터 사실 두 플랫폼이 서로 닮아 가고 있는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유튜브도 Youtube Premium 서비스를 통해 구독료를 얻고 있고, 넷플릭스도 최근 광고 도입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죠. 


전문가 추천 컨텐츠 vs 알고리즘 추천 컨텐츠

영상 추천방식을 보면 확실히 넷플릭스는 전통적인 산업에, 유튜브는 새로운 사업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 (넷플릭스) 예전에 영화관에서 전문가들이 상영할 영화를 고르듯 아무래도 전문가들이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컨텐츠를 전면에 내세우죠. 
  • (유튜브) 알고리즘이 알아서 추천해줍니다. (정확한 원리는 몰라도 개인적으로 깜짝 놀랄정도로 잘 추천해줍니다 ㅋㅋ)

재미있는건 넷플릭스는 소비자가 구독만 해주면 구독해놓고 많이 안봐도 수익에 큰 문제가 없는 반면, 유튜브는 사람들이 실제로 시청을 해줘야 광고수익을 더올릴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알고리즘 개발에 더 열심이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


유튜브 vs 넷플릭스 최후의 승자?

앞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태생부터가 다른 두 플랫폼이지만 최근들어서 서로 닮아가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양쪽다 광고와 구독모델을 도입하는 점도 그렇고, 컨텐츠 내용에서도 유튜버들도 이제 프로못지 않은 실력을 보여주는가 하면 넷플릭스도 드라마, 다큐, 예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로 노력하는거 같습니다.(물론 유튜브의 다양함을 따라갈수는 없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둘다 구독은 하지만 유튜브보는데 훨씬 많은 시간을 쓰고 있는데요

제가 생각했을때 그 이유는 

  1. 알고리즘 추천이 정말로 내가 원하는걸 찰떡같이 추천해줘서 관심사를 잘 반영한다.
  2. 영상 길이가 짧아서 지루하지가 않다. (개인적으로 갈수록 긴 컨텐츠를 못본다는건 집중력이 떨어진다랑 같은 의미인거 같아서 걱정됩니다.)

그렇다면 최후의 승자는 유튜브가 될까요? 


🐢  행복거북이의 생각

개인적으로 지금은 넷플릭스, 유튜브 모두 위기라고 생각됩니다. 

  • (넷플릭스) 구독자 증가 속도가 현저히 둔화되고 있어 다른 사람과 계정 쉐어 금지 등 제가 생각하기엔 악수로 보이는 방안을 내놓고 있죠. 게다가 저 포함 긴 영상을 못보는 현대인의 참을성 부족도 큰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 (유튜브) 얼마전까지 유튜브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생각했는데 최근 의구심이 생겼습니다. ChatGPT 등 각종 AI가 성행하면서 이제는 영상도 예전대비 만들기가 쉬워졌고 그러다 보니 갈수록 수준이하의 영상이 넘쳐나고 있는거 같습니다. 유튜브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면 사람들이 유튜브를 떠나는 것도 시간 문제일꺼 같아요. (물론 구글이라면 알고리즘으로 AI로 생성된 저품질 컨텐츠를 가려낼지도...)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할께요. 다음에 만나요~

 

* 참고로 이 글을 "미라클레터" 23년 3월 6월호를 보고 제 생각을 추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내용이 좋으니 직접 원문을 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다.)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33271

 

미라클레터

"미라클 모닝을 하는 직장인들의 참고서"🌞 미라클레터는 대한민국 CEO들이 '최애'하는 글로벌 트렌드 뉴스레터예요. 7만2000명 이상이 매일 아침 미라클레터로 미라클 모닝을 하고 있습니다. 💌

page.sti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