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말 가스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인가? (중국 경제회복과 유럽의 걱정)
안녕하세요. 행복거북이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경제회복과 유럽 가스가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럽의 에너지 안보
모두 아시다시피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고 러시아가 유럽에 공급하는 천연가스를 무기화 하면서
2022년 1년내내 유럽의 에너지 부족과 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이슈가 되었었죠.
우리나라도 높아진 국제 천연가스 가격에 영향으로 전기료, 가스비 인상이 최근 크게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래 그림에서 국제 가스가격을 보면 동아시아 시장의 단기로 거래되는
LNG 가격(JKM Price)이 지난해 8월 $50/mmBtu를 넘어가는 기록적인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2022년 ~ 23년 겨울 생각보다 큰 위기는 없었다.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를 무기화하여 우크라이나전을 유리하게 이끌고자 했던 러시아의 계획을
유럽의 여러나라들은 생각보다 잘 넘어갔다고 판단되는데요.
(물론 그 사이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러시아도 이득을 보았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습니다.
- (유럽의 따뜻한 겨울) 유럽은 금년 겨울 알프스에 눈이 녹아 스키장 영업이 힘들 정도로 따뜻한 겨울을 보냈습니다. 덕분에 난방용 가스 수요가 급감하는 효과가 있었죠.
- (중국의 LNG 수요감소) 중국은 Zero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면서 2021년 대비 천연가스 소비가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덕분에 천연가스 시장에서 유럽이 많은 양의 LNG를 비교적 낮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었죠.
- (에너지 절감대책) 우크라이나 전쟁이 2022.2.24일날 시작되었으니(푸틴은 왜 겨울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전쟁을 시작했을까요?;;) 다가올 겨울에 대한 준비시간이 유럽에게는 1년이 있었던 셈입니다. 따라서 평소대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었죠.
다가올 겨울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가 살아난다
금년 겨울이 지나갔다고 해도 사람들은 다가올 미래에 대해 걱정하고 대비하는 것을 좋아하잖아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가 엊그제인 2월 28일 중국의 경제회복이 유럽에 또 다른 걱정거리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 Lockdown 해제로 인해 2023년 중국의 LNG 수요는 전년대비 10% 증가할 것이고
- 경제회복이 가속화되고 천연가스 가격이 낮게 형성된다면 최대 35%까지 중국 LNG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한정적인 LNG 공급을 두고 중국과 유럽이 경쟁한다면 지난 여름 $50/mmbtu 이상을 기록했던 가스가격 폭등이 재현될 것이라는 거죠.
- 마지막으로 중국의 LNG 수요가 얼마나 살아날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는데요 블룸버그는 중국의 LNG 수요증가 폭의 Range가 유럽이 소비하는 천연가스의 8%라 된다고 합니다. (저도 기사보면서 알았는데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거의 유럽전체와 맞먹을 정도입니다.)
관련 기사 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볼수 있습니다.
- https://www.nasdaq.com/articles/natural-gas-prices-could-rise-this-year-on-china-demand-revival?utm_source=substack&utm_medium=email
- https://www.bnnbloomberg.ca/china-s-gas-demand-is-a-bigger-worry-for-europe-than-russia-cutoff-1.1889022?utm_source=substack&utm_medium=email
🐢 행복거북이의 생각
우크라이나 전쟁이 생각보다 장기화 되고 있고,
유럽에서 단기간에 러시아에서 들어오는 천연가스를 타 에너지원으로 대체하긴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중국도 더 이상 Zero 코로나 정책과 같은 방법으로 경제회복을 지연시킬 수는 없겠죠.
따라서 IEA의 경고처럼 올해 천연가스 가격 재상승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서 가장 이득을 보고 있는 나라는 미국, 카타르 등 LNG 수출국이겠죠.
(이런걸 생각하면 미국은 러시아처럼 잠재적 위협국을 주변에 두지도 않고 자원은 풍부하니 정말 최고의 입지인거 같습니다.)
많이들 생각하시는 거처럼
유럽은 이번 위기를 통해 단기적으로 FSRU 등을 통한 LNG, 장기적으로는 신재생으로 가겠다는 기조가 확실합니다.
사실 애매한 곳은 우리나라인데요. 정권에 따라 바뀌는 에너지 정책으로 과연 장기적인 대책이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쓸께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